리눅스 ssh 접속 빠르게 하기..
·
Computing/Linux
리눅스를 테스크탑으로 사용하면서 조금 신경쓰이던것중 하나가 외부로 ssh 접속을 할때 느리다는것이다. 아래와 같이 하면 간단히 빠른 접속을 할 수 있다. /etc/ssh/ssh_config 를 에디터로 연다음 (주의: sshd_config 가 아니다. sshd_config 는 ssh 서비스 데몬의 환경화일이다.) GSSAPIAuthentication yes 라고 되어 있는것을 no 라고 변경하면된다. 반대로 밖에서 자신의 리눅스 테스크탑으로 접속하는 속도를 빠르게 하고 싶을때는, 즉 sshd 서버에서 외부접속을 빠르게 받고 싶을때에는 /etc/ssh/sshd_config 를 에디터로 연다음 (주의: ssh_config 가 아니다.) UseDNS no 를 설정해 준다. 없으면 추가하고, 있으면 no로 변경..
우분투에서 ssh 접속만 가능할때 원격데스크탑(vnc)도 가능하게 해보자.
·
Computing/Linux
우분투를 켜놓고 다른곳에서 원격테스크탑(vnc)접속하려고 하니.. 포트가 막혔있다. 난감하다. 그놈(Gnome)의 기본 vnc는 vino-server 다. (KDE는 안써봐서 모르겠다.) vino-server 의 기본포트는 5900 이다. 게다가 판단실수로 재부팅까지 해버렸다. 자동 로그인을 안해놔서 vino-server 까지 동작하지 않는다. 더욱 난감해졌다. tightvnc 같은것을 설치할까 하다가... 생각해보니... 내 데스탑환경이 필요하다. 나와 같은 경우라면 다음과 같이 하자. 주의 할 점은 원격데스크탑으로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로 ssh 로그인한 상태에서 아래의 내용을 실행한다. 1. vino-server가 동작하게 하기 위해 자동로그인을 가능하게 한다. 자동로그인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et..
우분투에서 nologin 적용 문제....
·
Computing/Linux
다른(?) 리눅스... 예를 들어 페도라, CentOS 등에서는 사용자에게 FTP등의 접속권한만 주고 ssh접속등 쉘의 권한은 주고 싶지 않을때 사용자의 쉘을 /sbin/nologin 으로 고쳐주기만 하면 되었다. 우분투도 마찬가지지만 기본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기에 다음과 같은 수정을 필요로 한다. 1. 우분투는 nologin 의 경로가 /usr/sbin/nologin 이다. 사용자 생성시 혹은 쉘 변경시 주의한다. (페도라 CentOS 등에서는 /sbin/nologin 이다) 2. /etc/shells 에 /usr/sbin/nologin을 추가해 주어야한다. /etc/shells 파일을 열어보면, 사용자의 쉘로 등록해줄수 있는 목록이 들어 있다. 마지막에 /usr/sbin/nologin 을 추가해 주면..
오픈수세(Open suse)에서 버추얼박스(virtualbox) guestAddtions 설치시 에러 날때...
·
Computing/Linux
오픈수세를 버추얼박스로 설치하고 guestAddtions 를 설치하려고 하는데 에러가 났다... 찾아보니 kernel-source를 설치하여야 한다고 한다. 이후로 필요하다고 하는 여러가지 설치를 해보았지만 안되었다. 최종적으로 kernel-syms 를 설치하였더니 문제없이 설치/동작한다. 아래는 내가 설치한 내역이다. gcc make automake autoconf kernel-source kernel-headers kernel-default-devel kernel-syms $ sudo zypper in gcc make automake autoconf kernel-source kernel-headers kernel-default-devel kernel-syms $ sudo [[[[guestAdd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