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 중에서 한글/한자/일어 찾는 정규식
·
Computing
아래는 http://kais.tistory.com 블로그에서 퍼온 내용입니다. 더 많은 내용은 http://kais.tistory.com 을 방문하세요.정규식으로 이런 문자열을 체크하기 위해서는 유니코드 UTF-8로 인코딩 되어야 합니다.인코딩 되어있지 않다면 iconv 를 통해 UTF-8로 변경하면 됩니다. 예제를 위해 한글/한자/일어를 검색을 통해 랜덤으로 뽑아왔습니다. ;;이 예제에서는 영어나 특수문자를 제외한, '한글', '한자', '일어' 만 추출하는 것을 보여줍니다.한자는 한국, 중국, 일본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을 모은 것이라 일본에서 사용하는 한자를 검출할때는 '한자'와 '일어'를 같이 사용하면 됩니다.유니코드는 한,중,일 한자를 통합해서 정의해서 따로 구분하려면 유니코드 목록을 참고하셔서 ..
리눅스 ssh 접속 빠르게 하기..
·
Computing/Linux
리눅스를 테스크탑으로 사용하면서 조금 신경쓰이던것중 하나가 외부로 ssh 접속을 할때 느리다는것이다. 아래와 같이 하면 간단히 빠른 접속을 할 수 있다. /etc/ssh/ssh_config 를 에디터로 연다음 (주의: sshd_config 가 아니다. sshd_config 는 ssh 서비스 데몬의 환경화일이다.) GSSAPIAuthentication yes 라고 되어 있는것을 no 라고 변경하면된다. 반대로 밖에서 자신의 리눅스 테스크탑으로 접속하는 속도를 빠르게 하고 싶을때는, 즉 sshd 서버에서 외부접속을 빠르게 받고 싶을때에는 /etc/ssh/sshd_config 를 에디터로 연다음 (주의: ssh_config 가 아니다.) UseDNS no 를 설정해 준다. 없으면 추가하고, 있으면 no로 변경..
우분투에서 ssh 접속만 가능할때 원격데스크탑(vnc)도 가능하게 해보자.
·
Computing/Linux
우분투를 켜놓고 다른곳에서 원격테스크탑(vnc)접속하려고 하니.. 포트가 막혔있다. 난감하다. 그놈(Gnome)의 기본 vnc는 vino-server 다. (KDE는 안써봐서 모르겠다.) vino-server 의 기본포트는 5900 이다. 게다가 판단실수로 재부팅까지 해버렸다. 자동 로그인을 안해놔서 vino-server 까지 동작하지 않는다. 더욱 난감해졌다. tightvnc 같은것을 설치할까 하다가... 생각해보니... 내 데스탑환경이 필요하다. 나와 같은 경우라면 다음과 같이 하자. 주의 할 점은 원격데스크탑으로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로 ssh 로그인한 상태에서 아래의 내용을 실행한다. 1. vino-server가 동작하게 하기 위해 자동로그인을 가능하게 한다. 자동로그인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et..
우분투에서 nologin 적용 문제....
·
Computing/Linux
다른(?) 리눅스... 예를 들어 페도라, CentOS 등에서는 사용자에게 FTP등의 접속권한만 주고 ssh접속등 쉘의 권한은 주고 싶지 않을때 사용자의 쉘을 /sbin/nologin 으로 고쳐주기만 하면 되었다. 우분투도 마찬가지지만 기본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기에 다음과 같은 수정을 필요로 한다. 1. 우분투는 nologin 의 경로가 /usr/sbin/nologin 이다. 사용자 생성시 혹은 쉘 변경시 주의한다. (페도라 CentOS 등에서는 /sbin/nologin 이다) 2. /etc/shells 에 /usr/sbin/nologin을 추가해 주어야한다. /etc/shells 파일을 열어보면, 사용자의 쉘로 등록해줄수 있는 목록이 들어 있다. 마지막에 /usr/sbin/nologin 을 추가해 주면..